|
조혜정
2000년부터 꾸준히 여성, 정치, 문화에 관한 비판적인 관점을 제시하는 영상 작업을 해오고 있다. <밀실과 장치>(복합문화공간 에무), <재구성의 경로들>(갤러리 정미소), <대안적 연대기>(체어즈온더힐) 등 6번의 개인전과 두산갤러리 ‘삼키기 힘든’,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프로젝트 ‘예기치 않은’, 미디어시티서울 ‘귀신 간첩 할머니’, 경기도 미술관 ‘리듬풍경’, 광주비엔날레 ‘만인보’ 등 국내외 다수의 전시와 서울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 서울국제실험영화제, 인디다큐페스티벌, 서울독립영화제, 인천여성영화제, 서울국제여성영화제, 전주영화제 등 페스티벌과 영화제에 참여하였다. 서울대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판화를,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에서 프린트 미디어를 전공하였다.
|
CHO Hyejung
CHO Hyejeong has been consistently working on video and film works that suggest critical perspective on women, politics and culture since 2000. Cho has held solo exhibitions including Public Torture (Gallery Emu), Unfinished Work (Gallery Jungmiso), From Dust to Dust: The Chronicles of Women in Naegok-ri, Kyungsang Province (Chairs on the Hill) and has participated in events such as the 2010 Gwangju Biennale, Mediacity Seoul 2014, MMCA X KNCDC Performance: Unforseen (2016) and etc. and international and domestic film festivals as well. Cho was in Artist Residency in Changdong as a member of Collective Work in 2016. Cho is experimenting with interdisciplinary arts combining performance, dance and video through arts.
|